어렸을 적 피아노를 배운다는 것은 집이 좀 산다는 것을 의미했다.
거실에 그랜드 피아노를 둘 수 있다는 것은
피아노를 구입할 수 있으며, 둘 수 있을 정도로 거실이 넓으며, 주기적으로 조율을 맏길 수 있어야 했다.
사는게 시원찮았던 우리 집은 그런거 모르고 살았고, 피아노는 텔레비전에서나 보는 딴 나라 이야기였다.
결혼을 하고, 아이를 키우면서 분위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아이가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.
집에서도 피아노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해주고 싶었고, 알아보니 디지털 피아노는 크기가 그렇게 크지 않았다.
처음 배우기 시작한 피아노를 언제까지 배우고, 흥미를 잃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기에
새 제품이 아닌 중고를 알아보기 시작했다.
그러다가 구입하게 된 제품이 삼익 SP2500H 이다.
이 제품은 건반이 이탈리아 FATAR 사의 제품이라고 한다.
이렇게 생긴 제품이다.
플라스틱이 많이 쓰이지 않던 시절의 제품이라 소재의 대부분이 MDF이다.

다양한 악기소리와 녹음/재생 기능이 있다.
처음 중고 구입시부터 피아노 소리와 페달만 정상 동작했다.
피아노를 연습하기 위해서 구입하거라 부담없이 사용했고, 2년 정도 사용하고 보드가 고장났다.
삼익악기에 20만원의 수리비를 주고 수리해서 사용했다.
또 한 2년 정도 사용하니 피아노만 되고 다른 기능은 안되는걸 보니 원래 그런가보다 하고 사용 중이다.
코로나-19로 학교를 가는 날이 적어지고,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자 첫째 아이와 둘째 아이가 서로 피아노를 치겠다고 다투는 일이 잦아졌다.
이에 새로 한 대를 더 구입하기 위해서 알아봤다.
이제 고민은 중고를 하나 더 살 것인지, 새 것을 살 것인지였다.
고민없이 새 것을 사기로 결심했다.
1. 중고 구입 후 기대 수명이 길지 못할 수 있다.
2. 해제 및 운반 후 조립이 까다롭다.
3. 디지털 제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이 낮아진다.
위와 같이 3가지 큰 이유로 새 제품을 검색하기 시작했고, 관심있게 확인하기 시작한 제품은 아래와 같았다.
1. 뮤디스 MF-300L Plus
2. 다이나톤 DCP-575
3. 다이나톤 DCP-580
4. 영창 KT-1
5. 삼익악기 First-1
2,4,5번 제품은 중국 생산이라 일단 제외시켰다.
뮤디스와 다이나톤 제품을 비교했는데, 모양이 기존 피아노와 흡사한 느낌을 찾게되어 최종적으로 다이나톤 DCP-580 모델을 구매했다.
주문은 1/27에 했고, 배송은 2/7에 받았다.
그 사이에 설 연휴와 토요일, 일요일이 총 7일이 있었으니, 영업일 기준으로 7일 정도 소요된 것 같다.
배송기사님께서 하루 전 연락을 주셔서 설치를 위한 방문 시간을 사전에 약속했다.
설치 시에도 친절하게 설명을 해주시고, 조립 및 기능 테스트 및 메뉴 설명 등을 해주셨다.
해당 제품 구입 후기를 보면, 피아노 바닥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매트를 구입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.
굳이 왜 구입해야 하는지 몰랐으나, 받침이 플라스틱이라 진동을 흡수할 스펀지나 고무 등이 없어서 별도로 구입했다.
이점이 좀 아쉽다.
색상을 로즈우드로 골랐다.
배송기사님께 여쭤보니 화이트 10대 : 로즈우드 1대 정도의 비율로 설치를 하신다고 한다.
지역마다 다르긴 하겠지만, 아무래도 인테리어 트렌드가 화이트 계열이라 그런 것 같다고 하신다.
첫째 아이의 방에 설치할 것이기에 회색 계열의 벽지와 어울리도록 로즈우드로 선택했다.
기존의 똑딱이 전원 버튼이 아니라 버튼식의 전원버튼과 다이얼 형태의 볼륨 버튼이 우측에 위치해있다.
좌측에는 설정 및 선택을 할 수 있는 조작부가 있다.
연결 단자는 본체 하단에 있다.
이 부분이 위에서 아쉽다고 한 다리이다.
저렴한 가격을 위해 감가를 위해 어쩔 수 없겠지만 좀 아쉽긴하다.
포털의 검색을 통한 할인을 받는 링크로 들어가서 카드 할인 등을 받아 무이자 할부에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했다.
정서 함양을 위해 취미로 배우는 피아노에 너무 큰 비용을 들이고 싶지 않다면 다이나톤 DCP-580은 괜찮은 선택이라고 생각한다.
첫 디지털 피아노 선택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.
#다이나톤 #디지털피아노 #DCP-580